가계 이자소득 22년 만에 최소
저금리가 독이 된 것일까요? 저금리 영향으로 지난해 가계 이자소득 22년 만에 최소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또한 가계가 낸 대출이자가 예금 등으로 받은 이자를 넘어서며 이자 수지(이자소득-이자지출)가 2년 연속 적자를 냈다고 하네요.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 이자소득은 30조5천795억원이었습니다. 가계 이자소득은 1년 전보다 2.2% 줄어들며 1995년(29조7천340억원) 이후 최소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가계 이자지출은 8.6% 증가한 34조4천654억원이었는데요. 이자소득에서 이자지출을 뺀 이자수지는 3조8천859억원 적자를 기록했다고 하네요. 이자 수지는 2016년 사상 처음으로 적자(-4천777억원)를 낸 데 이어 2년 연속 적자 행진했으며 적자 폭은 전년보다 늘었습니다.
이자 수지는 1975년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증가세를 보여왔습니다. 2000년엔 20조4천130억원으로 사상 최대 흑자를 냈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며 이자수지 흑자는 2조원대로 내려앉았죠. 급기야 2016년에는 적자 전환했다고 하네요.
가계 이자소득 22년 만에 최소는 2014년 이후 한은 기준금리가 5차례 인하되는 등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예·적금으로 얻을 수 있는 이자가 줄어든 탓으로 해석되고 있는데요. 가계 이자소득 22년 만에 최소처럼 이자 수지 악화는 가계 소비 여력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키우고 있다고 합니다. 이자소득이 줄어서 소득이 축소되는데 이자지출은 늘어나게 되면 실제 쓸 돈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