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증 환경호르몬 비스페놀A 체내 2배 축적 위험

 

맨손으로 영수증을 만지면 영수증 환경호르몬 비스페놀A의 체내 축적 농도가 2배 높아진다고 하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영수증 환경호르몬 비스페놀A 체내 2배 축적 위험

 

서울대 보건대학원 최경호 교수팀은 마트에서 일한 지 평균 11년 된 중년 여성 계산원 54명을 대상으로 영수증(감열지) 취급에 따른 소변 내 비스페놀A 농도를 측정한 결과 영수증 환경호르몬 비스페놀A 체내 축적 2배의 결과가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는데요. 

 

 

비스페놀A(BPA)는 인체에 들어가면 내분비 시스템을 교란하는 환경호르몬 중 하나인데요. 체중 60㎏인 성인의 BPA 하루 섭취 허용량은 3㎎ 정도로서 BPA는 주로 플라스틱과 에폭시, 레진 등의 원료물질로 물병, 스포츠용품, 캔의 코팅제 등에 쓰이지만, 마트의 영수증이나 대기표 등에 쓰이는 ‘감열지’(感熱紙)에도 이 성분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영수증 환경호르몬 연구팀은 조사 대상 계산원들이 장갑을 끼지 않은 채 이틀 연속으로 영수증을 취급했을 때와 같은 기간 장갑을 끼고 영수증을 취급했을 때의 BPA 소변농도를 비교했는데요. 

 

 

이 결과 업무 중 맨손으로 영수증을 취급했을 때의 소변 중 BPA 농도(ng/㎖)는 0.92로 업무 전의 0.45보다 2.04배 수준으로 상승했다고 합니다. 반면 장갑을 끼고 일했을 때의 BPA 농도는 업무 전 0.51, 업무 후 0.47로 큰 차이가 없었다고 해요. 

 

 

이번 영수증 환경호르몬 연구에서는 BPA와 당뇨병의 상관성도 관찰됐다고 하는데요. 영수증에 노출된 BPA 농도가 높은 계산원은 공복 인슐린 수치와 인슐린 저항성이 함께 높아졌다고 하네요. 

 

일부 업체에서는 BPA 성분을 대체하는 BPS 영수증이 등장했지만, BPA가 아니더라도 비스페놀 계열의 영수증은 비슷한 수준의 위해성이 검출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라고 합니다. 

 

  

 

연구팀은 마트 계산원을 대상으로 한 영수증 환경호르몬 비스페놀A 체내 축적 연구지만 소비자들도 일상생활에서 영수증 노출이 적지 않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고 밝혔는데요.

 

 

 BPA 성분을 대체하는 것만으로는 인체에 대한 위해성을 줄이기 힘들기 때문에 스마트폰이 영수증을 대체하는 추세인 만큼 가급적이면 물건을 산 다음에 종이 영수증을 받지 말고 불가피하게 받더라도 바로 폐기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영수증은 차후 확인을 위해 보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지 않은 영수증을 만드는 등 대체 방법이 필요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