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월급 의사 연봉 종합병원 월급, 4.6배↑약사 월급은?
의사 월급, 월평균 임금 추정액이 정규직 노동자보다 4배 이상 많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는데요. 우리나라 의사의 월평균 임금 추정액은 1천304만원으로 정규직 노동자보다 4.6배 많다고 하는 조사결과라고 합니다.
14일 보건복지부의 '국민보건의료 실태조사'를 보면, 전국 보건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의사의 월 평균임금은 2016년 기준으로 1천304만6천원이었다고 합니다. 연봉으로는 약 1억5천656만원이 되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팀이 건강보험공단에 신고된 소득자료를 활용해 계산한 의사 월급 및 의사 연봉 결과인데요. 한국의사의 월평균임금은 2011년 1천6만7천731원에서 2012년 1천89만4천733원, 2013년 1천137만4천905원, 2014년 1천186만1천70원, 2015년 1천252만1천776원 등으로 해마다 평균 5.3%씩 증가했다고 합니다.
의사 월평균임금은 의료기관 규모가 작을수록 높았는데요.100병상 미만(30∼99병상) 규모 중소병원이 1천996만원으로 가장 많았다고 하는데요.
입원병상이 있는 동네의원에 근무하는 의사는 1천917만원, 입원병상이 없는 의원일 경우 1천362만원이었으며 이에 반해 상급종합병원(867만원)이나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919만원) 등 대형 병원에 근무하는 의사들의 월평균임금은 상대적으로 낮았다고 합합니다.
이들 의료기관은 대부분 수련병원으로, 수련과정에 있는 전공의 등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낮은 의사면허소지자가 많이 근무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약사의 경우에는 교육기관 즉 약대에서 근무하는 약사 월급이 월 597만원으로 급여가 가장 높았는데요. 약국 근무약사는 516만원, 상급종합병원 484만원, 정부에서 일하는 약사는 316만원 순이었다고 합니다. 제약사 등 기타 직장가입 약사는 432만원 수준이었으며 간호사의 경우에는 의료기관 323만원, 비의료기관 372만원이었다고 해요. 물론 평균이기 때문에 플러스 마이너스는 분명 있겠죠.
한편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 따르면 2016년 정규직 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은 279만5천원, 비정규직은 149만4천원이었는데요. 한국 의사 평균월급이 정규직 노동자보다 4.6배, 비정규직 노동자보다는 8.7배 더 높다는 계산이 나온다고 합니다.
이상 의사 월급 및 의사 연봉 그리고 약사 월급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리도 월급이 많아졌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