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 대책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청와대에서 청년 일자리 대책 보고대회 겸 제5차 일자리위원회 회의를 주재했다. 문 대통령의 발언에 이어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송영무 국방부 장관, 심보균 행정안전부 차관이 5건의 안건을 보고했다.



김 노동부 장관은 기업과 청년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를 중심으로 청년고용 지원 방안을 보고했다. 김 장관은 ▲고용장려금 확대 ▲구직 지원금 지급 ▲ 근로시간 단축 정착 ▲ 고졸자 취업연계장려금 지급 등 세부대책을 보고하고 "이번 대책은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당사자인 250여 명의 청년들과 함께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홍 중소벤처부 장관은 '청년 내일채움공제 신설' 등 청년의 중소기업 취업 촉진 대책과 창업 촉진 대책을 보고했다. 홍 장관은 "청년 실업자가 43만 명에 이르지만, 중소기업은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청년이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빠짐없이 찾아가면 청년실업률이 대폭 낮아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소기업 임금은 대기업의 65% 수준에 불과하고 주거·복지 등 근무여건도 만족스럽지 못하다"며 "이러한 중소기업 일자리 진단을 토대로 임금 격차 해소에 중점을 둔 지원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송 국방부 장관은 청년 장병들의 취업 및 창업 활성화를 위한 '청년 장병 SOS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송 장관은 "매년 약 6만9천 명의 전역 장병들이 취업시장에 문을 두드린다"며 "청년 일자리 창출과 군의 전투력 강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입대, 복무, 전역 후를 아우르는 단계별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심 행안부 차관은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을 보고하고 "지자체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중앙 부처는 지자체의 우수한 사업 모델을 발굴·확산하고 예산과 컨설팅을 지원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청년 일자리 대책

보고대회에는 김 부총리 등 18명의 장·차관급 인사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