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북방물류


경쟁력을 강화해 글로벌 입지를 확대하겠다는 목표로 CJ대한통운 북방물류 시장 접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최근 중국 상하이 자딩(嘉定)구 소재의 중국 자회사 CJ로킨 본사에 첫 해외 연구개발(R&D)단지인 'TES 이노베이션센터 차이나'를 개관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중국 창고업체 '무한북방첩운'을 인수했다고도 발표했다. 



중국은 CJ대한통운이 공들이고 있는 국가다. 아시아 1위 물류기업에 이어 2020년까지 글로벌 5위 물류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빼놓을 수 없는 거대 시장이기 때문이다. 관련 업계에서도 중국을 놓치면 글로벌 기업으로서 미래를 담보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지배적이다.

CJ대한통운은 이런 중국 시장을 잡기 위해 지금까지 다양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지난 2013년에는 중국 중량물 물류전문기업 CJ스마트카고를, 2015년에는 CJ로킨을 인수했다. 여기에 지난해 7월 중국 TCL그룹과 물류합작법인 CJ스피덱스를 설립하기도 했다.

CJ대한통운 북방물류 진출에서 CJ로킨은 중국에서 핵심 역할을 맡는다. 이 회사는 중국 전역에 48개 직영터미널과 50만㎡ 규모의 22개 물류센터를 갖춘 중국 최대 냉동냉장 물류기업이다. 인수 당시 CJ대한통운은 쟁쟁한 중국 업체와 치열한 경쟁을 벌인 바 있다.

역량을 강화하던 CJ대한통운은 올해 한국과 중국 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갈등으로 중국 시장에서 잠시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최근 이 갈등이 해소되면서 CJ대한통운이 다시 발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우선 CJ로킨을 통해 무한북방첩운을 200억원에 인수했으며 CJ로킨을 통해 개소한 R&D단지 TES 이노베이션센터 차이나를 중심으로 급성장 중인 중국 물류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전략도 마련했다. 



특히 CJ대한통운은 피킹(picking) 자동창고 시스템에 집중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작업자가 카트를 밀거나 바구니에 담아 운반할 필요 없이 물류창고에서 로봇이 주문 물품의 랙을 들어 이송하고 분류해주는 작업을 지원한다. 중국의 물류 및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현재 피킹로봇 개발을 서두르고 있는 상황이다.


CJ대한통운 북방물류 시장 접수신호에 관련 업계는 물론 산업계 전반이 CJ대한통운의 이런 행보에 높은 관심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