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해부대 급파
아프리카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피랍 사건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이 청해부대 급파를 지시했습니다. 우리어선 마린 711호 피랍 사건이 발생한지 닷새가 지나도록 피해자들의 위치, 납치 세력의 신원 등 구체적인 상태 파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자 내린 결정인데요. 지난 아랍에미리트(UAE) 순방 중 이를 보고 받고 28일 귀국 직후 청해부대의 급파를 지시했다고 합니다.
문 대통령은 귀국 즉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통해 피랍해역으로의 청해부대 급파와 함께 “우리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최선을 다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에 합동참모본부는 31일 오전 오만 살랄라항 앞바다에서 임무수행 중이던 문무대왕함을 피랍해경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했습니다. 문무대왕함은 현재 탄자니아 인근 해역을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으며 오는 16일 사고 해역에 도착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마린 711호는 한국 선사가 운영하는 500t 규모의 참치잡이 어선으로서 당시 가나 국적인 선원 40여명이 탑승한 상태였으며 선장과 항해사, 기관사 등 한국인 3명이 함께 탑승했습니다. 이 어선은 3월 26일 오후 5시30분쯤 아프리카 가나 해역에서 나이지리아 해적으로 추정되는 세력에 의해 가나 인근 해역에서 피랍됐다고 합니다.
해적은 마린 711호를 납치하기 전 그리스 선적 선박 2척을 탈취하려다 실패했고 그 과정에서 외국인 2명을 납치해 억류하고 있는 상황이었으며 해적들은 한국인 3명만 고속정에 태워 도주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합니다.
청와대는 피랍 사건 인지 직후 국가위기관리센터를 가동하고 국방부와 외교부와의 공조를 통해 피랍 선박 구조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문 대통령의 지시 하에 정부가 문무대왕함을 파견하고 경찰 영사를 보내는 등 대응에 나선 것이죠.
한편 외교부는 당초 27일 피랍 국민의 신변안전 등을 이유로 최종 구출시까지 보도하지 않은 전제로 출입기자들에게 사건을 설명했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피해자들의 소재 파악조차 되지 않아 31일 보도자료를 내고 사건으로 공개했다고 합니다.
청해부대 급파와 함께 주변국에도 도움을 요청한 상태지만 현재까지 납치세력 측과의 소통이 이뤄지지 않아 피해자들의 안전 여부, 소재지 등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납치 세력의 구체적인 정체와 요구 사항도 파악되지 않아 얼마나 장기화될지 미지수라고 하는데요. 청해부대 급파 및 국제적인 공조가 있는 만큼 모두 무사히 귀환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