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연 리스트 진상규명
최근 미투운동이 각계 각층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미투 운동’ 단체가 5일 조선일보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역없는 조사와 더불어 장자연 리스트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고 장자연씨 사건을 제대로 조사하는 것뿐만 아니라 거기 연루됐던 누구라도 성역 없이 다시 조사가 돼야 한다는 것을 촉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이제라도 철저한 진상규명과 가해자에 대한 사회적 단죄가 이뤄져야 합니다.”
시민단체 ‘미투운동과 함께하는 시민행동’과 ‘전국언론노동조합’ 등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조선일보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권력관계를 악용해 위력에 의한 성범죄에 성역은 있을 수 없다. 방용훈 사장 등 당시 관련자 30여명을 철저히 수사해 엄벌에 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권력 관계를 악용해 벌어진 성범죄에 성역이 있을 수 없다”며 “이번 만큼은 정확한 조사를 통해 진실이 밝혀져야 한다”고 장자연 사건의 철저한 재수사를 촉구했다.
정미례 미투시민행동 공동집행위원장은 “이 사건은 성 착취 문제이자 사회적 타살”이라며 “성 착취 피해를 입은 여성이 고통과 피해를 호소하다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그동안 침묵으로 일관했고, 침묵의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는 집단이 바로 여기 모두에 있다”며 “어떤 압력에도 굴하지 않고 철저한 장자연 리스트 진상규명과 관련자에 대한 적절한 처벌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인배우 장자연은 지난 2009년 당시 29세의 젊은 나이에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신인배우를 죽음으로 몰아가 공분을 불러 일으켰지만 진상 규명과 가해자 처벌은 흐지부지됐다. 당시 편지에는 30여명에게 100 여 차례나 성접대를 했다는 것이다. 이 사건과 관련 탤런트 이미숙 및 송선미 등도 거론됐다.
앞서 지난 2일 법무부 산하 검찰 과거사위원회(위원장 김갑배)는 ‘장자연 리스트 사건’ 등 5건을 검찰 진상조사단의 사전조사 필요 사건으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검찰 과거사위원회는 장자연 리스트 진상규명과 관련해 성 접대 의혹은 물론 검찰과 경찰의 부실 축소 수사 의혹도 조사할 예정이다. 과연 검찰이 장자연 리스트 진상규명 재수사 때 이들도 참고인 조사를 벌일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