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보이콧 선언
카이스트 등이 개발하는 무기가 결국 '킬러 로봇'이 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 해외의 저명 로봇학자 50여명이 카이스트 보이콧 움직임을 보였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한화시스템이 추진하는 인공지능(AI) 무기연구를 문제 삼으며 카이스트와의 모든 공동 연구에 보이콧하겠다고 선언했다.
앞서 카이스트와 한화시스템은 지난 2월 '국방 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를 열었다. 이 센터에서는 국방 AI 융합과제 발굴·연구, 연구인력 상호교류 등이 진행된다. 특히 AI를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항공기 훈련시스템을 비롯해 지능형 물체추적·인식기술, 대형급 무인잠수정 복합항법 알고리즘 개발 등도 연구된다.
이에 토비 월시 미국 뉴사우스웨일스대 교수 등 로봇학자 50여명은 카이스트 보이콧 내용의 공개서한을 발표했다. 학자들은 서한에서 "카이스트 총장에게 요청했으나 확답을 받지 않았다"며 "인간의 의미있는 통제가 결여된 채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무기를 개발하지 않겠다는 확약을 카이스트 총장이 할 때까지 우리는 카이스트의 어떤 부분과도 공동연구를 전면적으로 보이콧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유엔이 군비증강 위협을 줄일 방안을 논의하는 시점에 카이스트 같은 명망 있는 대학이 군비경쟁을 가속하는 데 관심을 기울인다는 점이 유감스럽다고 강조했다. 토비 월시 교수는 "카이스트의 연구 활동은 군비 경쟁을 촉진할 뿐"이라며 "우리는 이 점을 용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신성철 카이스트 총장은 FT와의 인터뷰에서 킬러로봇을 개발할 의사가 전혀 없다고 해명했다. 신 총장은 "카이스트는 학문 기관으로서 인권과 윤리 기준을 고도로 가치 있게 여기고 있다"며 "우리는 인간의 의미있는 조종 없이 작동하는 자율무기 등 인간 존엄성에 반하는 어떤 연구 활동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화시스템 관계자 또한 카이스트 보이콧 논란과 관련, "이는 미래병력 감축에 대비한 무인화 기술로, 살상무기가 아니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카이스트와 한화시스템이 추진하고 있는 인공지능(AI) 무기연구를 문제 삼으며 토비 월시 미국 뉴사우스웨일스대 교수 등 로봇학자 50여명 카이스트 보이콧 선언 했다고 하는 소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