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택배로 해결


택배 논란이 불거졌던 다산신도시 아파트가 실버택배로 해결 하기로 했다. 우선 다산신도시의 택배 문제는 실버택배로 해결하기로 했는데 국토교통부는 17일 다산신도시 택배 문제와 관련해 입주민 대표와 택배업계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어 이 같이 분쟁을 조정하고 추후 제도개선안도 마련했다고 밝혔다.



실버택배는 아파트 단지나 인근에 거주하는 노인을 활용하는 택배 서비스로, 작년 12월 말 기준으로 전국 88개 단지에 2천66명이 참여하고 있다. 택배 회사는 기존의 택배 방식으로 아파트 입구의 실버택배 거점까지 물품을 배송하고, 아파트 내에서는 실버택배 요원이 주택까지 방문 배송하게 된다.

배송 금액의 절반은 보건복지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분담하고, 나머지 절반은 택배회사가 부담하고 있다. 실버택배 종사자는 하루에 3~4시간 일하고 월 50만원 수준의 수입을 얻을 수 있다.

국토부는 다산신도시에 실버택배를 도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아파트 인접 도로에 '택배차량 정차공간'을 설치하고 도로와 접한 아파트 대지 내 완충녹지 공간을 일부 변경해 택배 물품 하역보관소를 조성한다. 하역보관소부터 주택까지는 차량이 아닌 실버택배로 해결해 물품을 배송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도시계획도로와 완충녹지를 변경하기 위해 경기도와 경기도시공사 등 관련 기관과 협의하기로 했으며 아파트 단지 내 택배 배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 개선 방안도 마련했는데 아파트 단지 조성과 관련한 도시계획을 세울 때 도로에 택배차량이 정차 및 하역작업을 할 수 있는 정차공간을 설치하는 기준을 도시계획수립기준 및 지침 등에 마련할 방침이다.

아울러 실버택배 보급과 실버택배로 해결하는 사항이 확대될 상황에 대비해 실버택배 비용을 입주민이 일부 부담하게 하는 방안도 논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