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0.16% 하락 마감
뉴욕증시가 국제유가 급등 속 혼조를 거듭한 끝에 다우 0.16% 하락 마감 했다.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국제유가가 3년여 만에 최고치 수준으로 급등한 가운데 혼조세를 보였다.
18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8.56포인트(0.16%) 하락한 24,748.07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 0.16% 하락 마감한 것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25포인트(0.08%) 상승한 2,708.6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4.14포인트(0.19%) 오른 7,295.24에 장을 마감했다.
중동 및 무역 갈등 이슈가 수면 아래로 내려간 가운데 시장 참가들은 주요 기업 실적과 국제유가의 가파른 상승 흐름을 주시했다. 서부텍사스원유(WTI)는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이 지난주 원유재고가 시장의 예상치보다 큰 폭 감소했다고 밝히면서 이날 배럴당 68.47달러까지 올랐다. WTI가 68달러 위로 오른 것은 지난 2014년 12월 이후 3년여 만에 처음이다.
유가 급등은 에너지주 상승을 견인했다. S&P 500 에너지 섹터는 이날 1.5% 올랐다. 반면 필수 소비재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업종은 0.9%가량 내렸다. 이날까지 기업은 예상치를 웃도는 성적을 내놓으면서 세금감면 등에 따른 탄탄한 이익 증가를 확인했다. 다만 실적 전망에 대한 평가에 따라 기업별 주가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미국과 북한의 비핵화 대화 기대도 장 초반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미국 국무장관 내정자인 마이크 폼페이오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지난달 말 극비리에 방북,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만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증시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경기평가보고서인 '베이지북'에서 12개 관할 지역의 경기가 완만하게 확장 중이라는 점을 다시 확인했다. 연준은 다만 임금 상승 압력은 여전히 높지 않다는 분석을 내놨다.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실적의 호조가 지속하는 가운데, 기존의 기대와 향후 전망 등에 따라 기업별로 엇갈린 주가 흐름이 나올 수 있다고 진단했다.
뉴욕증시가 국제유가 급등 속 혼조를 거듭한 끝에 다우 0.16% 하락 마감 했다고 하는 소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