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인사칭 메신저피싱


앞으로 카톡이 오면 전화로 확인이 필요할 것 같다. 이유는 지인사칭 메신저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기 때문으로 가족이나 친구, 직장 동료, 지인 등을 사칭해 카카오톡 등 메신저로 보이스피싱을 유도하는 이른바 지인사칭 메신저피싱 피해사례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인사칭 메신저피싱에 금융감독원이 '경고' 수준 소비자경보를 발령했다.




메신저 피싱 사기범은 주로 메신저 ID를 도용해 지인을 사칭, 카카오톡이나 네이트온 등 메신저 대화창에서 돈을 요구했다. "급히 거래처에 결제해야 하는데 카드 비밀번호 오류로 보내지지 않는다"면서 타인 계좌로 이체를 요청하는 식이었다. 

또 지연 인출제도를 회피하기 위해 100만원 미만을 요구하거나 금액을 쪼개서 여러 번 보내 달라고 했다.사기범은 이체 내역을 사진 찍어 보내달라고 해서 확인했다. 휴대전화 고장으로 통화는 안되고 메신저만 가능하다고 하며 전화 확인을 피했다. 결제가 승인됐다는 가짜 문자메시지를 발송해 피싱하는 경우도 있다. 한 사기범은 '96만4천원이 결제됐다'는 문자메시지를 보내서 놀란 피해자가 확인전화를 하도록 유도했다.



전화연결이 되면 "안마의자를 구매한 것으로 나오는데 명의도용이라면 금감원 사이트에 보안카드 번호 등을 입력해서 취소처리 해야 한다"고 속여서 가짜 금감원 사이트로 유인했다. 이후 피해자가 계좌번호,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보안카드 번호 등을 입력하면 이를 이용해 자금을 이체하고 잠적했다.



지인사칭 메신저피싱 예방법으로는 검찰·경찰·금감원 직원이라는 전화가 오면 당황하지 말고 소속, 직위, 이름을 확인한 후 해당 기관의 공식 대표번호로 전화해 사실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