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위반 삼성바이오로직스


후폭풍이 거센 회계 위반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최대 매매거래 정지 조치까지 내려질 수 있다고 한다. 금융감독원이 삼성그룹의 '바이오 기대주'로 꼽히던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해 분식회계가 실제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며 잠정적으로 '회계 위반'을 결론 내렸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은 상장 직전인 2015년부터 불거졌다. 2011년부터 4년 연속 적자를 내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5년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를 관계사로 전환하며 실적이 크게 올랐다. 종속 회사에서 관계사로 전환하면 지분 가치를 '장부 가액'에서 '시장 가액'으로 변경할 수 있다.

관계사 전환으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분 가치를 기존 장부가액 3000억 원에서 시장가치인 4조8000억 원으로 평가받았고, 이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회계상으로 4조5000억 원의 이득을 취해 무리 없이 코스피 시장에 상장할 수 있었다. 금융감독원은 1년간 특별 감리를 진행한 결과 해당 부분에서 회계 위반 삼성바이오로직스라고 판단했다. 삼성 바이오로직스가 코스피 상장을 위해 '분식 회계'로 시장가치를 부풀렸다고 본 것이다.



금감원은 1일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당시 회계 감사를 담당했던 삼정·안진회계법인에 해당 조치에 대한 사전 통보를 완료했다. 이는 증권선물위원회에 감리 안건 상정을 요청하기 전에 위반 사실과 예정된 제재 등의 조치 내용 등을 안내하는 절차다.

회계 위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런 논란에 반박하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회계감사법인에 의해 재무제표를 꾸준히 감사받아왔고, 금융감독원이 위탁해 진행된 한국공인회계사로부터의 감리 결과에서도 적정 의견을 받았기 때문에 정당한 회계처리였다는 입장이다.


금감원의 '회계 위반' 결론은 아직 잠정적인 수준이다. 금융 당국은 감리위원회와 증권선물위원회 회의를 열고 전문가 논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분식 회계 여부를 결정짓는다. 이 과정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감사법인의 소명 절차가 함께 진행될 전망이다.



증권선물위원회와 감리위원회를 거쳐 분식회계 여부가 최종 확정되면 삼성바이오로직스 최대 주주인 삼성물산의 회계 장부도 검토 대상이 될 수 있어 '후폭풍'이 거세질 전망이다. 회계 위반 삼성바이오로직스 최대 매매거래 정지까지도 나올 수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