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지식공유 플랫폼 구축
ETRI는 연구원이 만든 주요 연구산출물을 한데 모아 자료를 공개하고 외부 유통을 보다 쉽게 만드는 플랫폼을 지난달 만들어 본격 운영한다고 밝혔다. ETRI 지식공유 플랫폼 구축을 본격화한것이다.
지식공유 플래폼은 당초 연구부서간 장벽을 없애고 동료간 연구교류 목적으로 시작됐으나 정부 3.0의 개방과 공유, 국민공개, 국민 알권리 충족을 위해 연구원 리포지터리(Repository)로 확대가 되었다.
이런 가운데 향후 지속적인 자료의 보강과 검색기능 강화가 이뤄질 예정이며 특히 올해는 영문 이외에 한글로 검색하는 분야를 강화해 보다 많은 정보를 국민에게 개방한다는 취지다.
연구원이 공개한 ETRI 지식공유 플랫폼 구축 시스템에는 연구부서, 연구자, 주제어, 성과물 등이 알기 쉽게 구축돼 있다. 지식공유 플랫폼은 연구원이 그동안 연구를 통해 성과를 낸 논문 2만5000여건을 비롯 특허 9000여건, 기술이전 보고서 4700여건, 국제표준특허 300여건, 기타 연구보고서 및 단행본 등 총 4만여건을 일반에 제공한다.
또한 연구원이 저작권을 모두 보유한 연구성과물은 국민 누구나 원문을 볼 수 있으며 자유로운 이용도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ETRI 지식공유 플랫폼 구축 시스템이다.
ETRI가 제공하는 표준화보고서, 인사이트 리포트 등은 기획 시장자료로 가치가 상당해 해당분야의 기술동향 등 파악에 유익해 중소기업이나 관련 분야의 기술자 등 이용도가 높다.
이번 ETRI 지식공유 플랫폼 구축 시스템은 단지 그동안 여러 사이트에 분포돼 있던 자료를 한데 모은데 의미가 있는 게 아니라 주제어별, 연구자별, 부서별 검색이 쉽게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상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국민들과 연구성과를 손쉽게 공유하기 위해 ETRI 지식공유 플랫폼 구축했다고 하는 소식이다.